사회초년생을 위한 계좌 추천을 해드리려고 합니다. 다양한 계좌 옵션이 있지만, 이번에는 ISA 계좌에 대해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ISA 계좌로 1억 원을 어떻게 모을 수 있을까 고민하면서 ISA 계좌를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이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ISA계좌란
ISA계좌와 1억 만들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ISA계좌
ISA 계좌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저 역시 ISA 계좌를 많이 들어봤고, 많은 사람들이 은근히 들어보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ISA 계좌를 개설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3년의 의무가입 기간 때문인 것 같습니다. 1년 후의 상황을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3년이라는 의무가입 기간이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ISA 계좌는 서민형에서는 비과세 한도가 400만 원, 일반형에서는 200만 원입니다. 이 한도를 초과하면 9.9%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구분 | 일반형 | 서민형 |
가입요건 | 만19세 이상 소득이 있는자, 15~19세 미만(직전연도 소득) |
총 급여 5천만 원 이하 종합 소득 3,800만 원 이하 |
비과세 한도 | 200만원(초과시 9.9%적용) | 400만원(초과시 9.9%적용) |
의무 가입 기간 | 3년 | |
납입 한도 | 연 4,000만 원 누적 최대 2억 | |
중도 인출 | 납입 원금 내에서 인출 가능 |
위의 표를 살펴보면, ISA 계좌는 상당한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1년이나 2년 후의 상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ISA 계좌를 개설하는 것에 대해 망설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ISA 계좌에 대한 관심이 낮아지는 것 같습니다.
장점과 단점
- 장점
- 세제혜택
- 다양한 투자옵션
- 저축과 투자 모두 가능
- 단점
- 의무가입기간: 3년
- 가입한도 및 제한
- 복잡한 상품 선택
1억 만들기
1억 원을 저축하기 위한 목표를 고려할 때, 3년 동안 목표를 달성하겠다는 결심을 하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ISA 계좌를 적극적으로 찾아보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ISA 계좌의 서민형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총급여가 5천만 원 이하인 경우가 많아서, 실질적으로 매달 받는 급여가 300만 원 초반일 수 있습니다. 즉, 사회 초년생들에게 해당하는 상황으로, 3년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1억 원을 모으려고 하는 사람들에게 ISA 계좌는 중요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1억 원을 모으는 데 필요한 시간을 계산해 보면, 월급이 약 300만 원 정도일 경우, 1억 원을 모으는 데 약 5년이 걸린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소득구간 | 모을 돈 | 1억 만들기 |
250만 원 미만 | 108만 | 84개월(7년) |
250~ 300만 원 | 117만 | 78개월(6.5년) |
300~400만 원 | 155만 | 60개월(5년) |
300만원에서 400만원사이의 월급을 받는 사람은 155만 원의 저축을 해야합니다. 부업을 해서라고 모아야한다고 봐요. 왜냐면 사회초년생이기 때문에 가능한 시기라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결혼을 하거나 나이가 들면 이렇게 모을 시간도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ISA 계좌를 활용해 신탁형으로 예적금을 설정하면 안전하게 자산을 운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4%의 이율을 제공하는 적금에 가입하면, 60개월 동안 약 천만 원에 가까운 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면, ISA 계좌를 사용하지 않고 일반 적금에 가입할 경우, 천만 원의 이자에 대해 144만 원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이는 세금이 15.4%로 적용되기 때문입니다. 이를 5년으로 나누어 보면, 연간 평균 30만 원의 세금을 내게 되는 셈인데, 이렇게 큰 금액을 세금으로 지불하는 것은 너무 아까운 금액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ISA계좌에 대해서 본 포스팅에서 알아봤는데요. 2편에서는 이제 얼마씩 저축을 해서 우리가 원하는 1억을 모을 것인가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겠습니다.